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월요논단

 80년 초 신군부에 의해서 언론통폐합이라는 전대미문의 언론말살정책이 자행되었다. 신문사의 숫자를 줄이고 주재기자를 없애거나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목적은 주재기자의 횡포를 줄이자는 것이었지만 실상은 정권유지에 거추장스런 언론의 활동을 제한하고 통제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었음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5공시절에 존재하는 지방신문으로 충청권에 단 한 곳 뿐이었으며 당진에 주재하는 기자도 한 명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런데 6공 이후 언론자유화에 따라 지방신문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주재기자도 늘어났다.
 언론의 역할을 새삼스럽게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사회발전의 방향을 바르게 제시하고 권력을 포함한 힘의 횡포로부터 약자를 보호하는 것이 언론이 할 일이 아니겠는가. 특히 지방지는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그 역할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주민자치를 실현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고 항상 정의의 편에서 주민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받을 때 보호막 역할을 해야 한다. 주재기자은 최전방을 지키는 군인처럼 그 사명이 막중하다.
 당진에도 충청권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지방일간지가 보급되고 주재기자도 그만큼 불어났다. 이들은 박봉과 격무에 시달리며 당진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문제를 기사화하고 여론화하여 해결점을 찾으려 노력한다. 그래서 군민은 언제나 마음 든든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유감스럽게도 이 곳 기자분들의 활동이 실망스러워 외람되게 이 글을 쓴다.
 지난 3월 7일 당진군민회관에서 정미면 수당리를 중심으로 정미면과 운산면의 주민들이 「안덕공원 설치반대」 집회를 열었다. 그들에게는 생존권이 달린 중대한 문제로 참여인원도 1천명에 가까웠고 집회는 가열되어 전군민의 뜨거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당연히 군민들은 지방신문에서 이 집회를 크게 다루리라 굳게 믿었다. 그러나 집회가 끝난 후 며칠이 지나도 일부 신문으 제외하고 대부분은 전혀 기사화하지 않았다. 오히려 동아일보와 한국일보 등 중앙의 주요 일간지들이 큰 관심으로 집회과정과 주민의 의견을 비교적 상세히 보도하였다. 모든 군민은 지방신문의 무관심과 외면에 놀라워했다.
'지방신문은 왜 존재하는가. 오늘날 지방지는 꼭 필요한가. 오히려 주민의 부담은 아닌가. 언론통폐합 당시에도 지방신문은 이런 식이 아니었을까' 부질없는 의문이 꼬리를 물고 일어났다. 언론인들은 평범한 인간 이상의 사명감으로 살아야 할텐데 주재기자가 당진에 와서 발생한 중대한 문제를 외면한다면 직무유기가 아니라고 단언할 수 있겠는가. 언론종사자와 지역민 모두 이 시점에서 깊이 반성할 때가 온 것이다.

<당진시대 1995년 3월 27일/67호>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