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4-18 13:58 (목)

본문영역

  • 사회
  • 입력 2007.05.07 00:00
  • 호수 661

[해설] 4.25 재보궐선거 이후 중심당 - 위기에서 ‘기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드로 “지역역주의로 세모으기 지양해야”

 12월 대선을 앞두고 국민중심당을 둘러싼 최근 변화의 큰 축은 지난 대전 서구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의 국민중심당 심대평 공동대표의 당선이다. 또 다른 하나는 범여권의 유력한 대선주자로 거론돼 온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의 대선 불출마 선언이다.
 이번 재·보선을 통해 충청권 지역민들은 심 대표뿐만 아니라 대전에서 치러진 2곳의 기초의원 선거에서도 표를 몰아줬다.
 이를 통해 국민중심당은 ‘위기’에서 탈피해 일단 ‘기회’ 모드로 전환됐다. 우선 범여권대통합 논의에 일정한 지분을 갖고 참여할 공간이 생겼다.
 국민중심당의 심 대표 당선 후 첫 행보는 독자적인 정치세력화 선언이다. 심 대표의 “대전·충청이 중심이 되어 깨끗하고 능력있는 정권을 창출하겠다”는 일성은 독자행보 선언의 다른 표현이다. 먼저 독자행보를 통해 충청권의 대표 정치세력으로 자리매김한 후 주변을 둘러보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때맞춰 불출마를 선언한 정 전 총장의 결단은 국민중심당과 심 대표의 행보에 힘을 보태주고 있다. 12월 대선 정국에서 여야 양당 유력후보를 놓고 캐스팅보트를 행사할 여지도 그만큼 커졌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민중심당의 정치세력화 과정이 지역주의 정치에 중심을 두고 펼쳐질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충청+호남권’을 묶어 정권을 창출할 수 있다는 논리도 가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남 무안·신안에서 민주당 김홍업 후보가 승리하자 민주당을 기반으로 한 호남과 심 후보를 중심으로 한 충청의 연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지난 1997년 대선에서 있었던 ‘DJP 연합’을 ‘지역연합’으로 대체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열린우리당과 범여권내에서 ‘지역연합=반한나라당 연대’로 등식화하고 이를 불가피한 것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실제 국민중심당이 범여권으로 부상하고 있는데는 ‘한나라당이 아니다’는 사실 외에는 다른 이유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념적, 정책적으로도 국민중심당은 한나라당과 가깝다.
 급기야 청와대가 민주당, 국민중심당 그리고 손학규 전 경기지사에 대해 `범여권’이라고 부르는 데 이의를 제기하고 나서기도 했다.
 따라서 “‘반한나라’면 지역주의도 용서될 수 있느냐?”는 물음은 곱씹어볼 만한 화두다. 결론은 한나라당의 집권을 이유로 지역주의마저 정당화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지역주의야말로 한국정치사를 후퇴시킨 ‘정치악(惡)’이기 때문이다.
 최근 열린우리당 김근태 전 의장의 “일부 정치세력에 의해 지역주의로 발전하면 표심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말로 국민중심당의 행보에 대해 우려를 나타낸 것은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지역연합이 현실화될 경우 훗날 이를 추진한 정치세력들은 지역주의로 개혁을 뒷걸음치게 했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국민중심당의 정치세력화 방식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조짐은 그다지 좋지 않다.
이미 일부 지역 언론에는 <‘충청 대망론’ 뜨겁다>는 제목의 기사가 등장했고 국민중심당 홈페이지 대문에도 같은 기사가 걸렸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