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사회
  • 입력 2008.07.07 00:00
  • 호수 718

지방좌익희생은 아직도 ‘쉬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인학살진상규명위원회, 우강·송악사례 수록해, 그러나 대부분 지역떠나고 진실규명 신청자도 없어

  진실화해위에 따르면 위원회의 진실규명 작업은 접수기간 중에 신청된 사례들만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가족이나 다른 누군가가 진실규명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 조사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연 전쟁과 함께 밀어닥친 북한 인민군과 남한측 남로당원, 인민위원회 인사 등 좌익인사들에 의한 우익의 희생 말고는 없었던 것일까?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범국민위)’가 2006년 펴낸 단행본 <민간인학살 주요사건>에는 당진군과 관련된 세가지 민간인 학살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는 우강면 창리 옷밥골에서 일어난 좌익에 의한 희생사건과 함께 우강ㆍ송악에서 군인과 경찰에 의해 좌익 부역혐의자들이 희생된 사건도 기록돼 있다.  기록에 따르면 우강면에서 좌익에 의해 일어난 사건은 1950년 9ㆍ28수복 직전 남로당계 좌익인사가 마을이장과 의용소방대원 등 친정부측이라고 판단했던 주민 37명을 창리 야산에서 집단학살한 사건이다.

우강면에서 연이어 일어난 또다른 사건은 서울수복 직후인 10월초 그동안 좌익에 부역한 혐의를 받은 주민 70여명이 공포리 전파관리소 자리에서 군인에 의해 학살된 사건이다. 그런데 두 사건은 그 이전의 다른 사건과 맞물려 일어난 보복전의 성격이 강했다.

2005년 발간된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실태보고서>에는 이 두 사건의 관계가 나타나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쟁 초기 국군이 밀리게 되자 경찰은 그동안 수감돼 있던 (좌익등) 인사들을 갯벌로 끌고가 살해”했으며 “이 사건이 있은 뒤 인민군이 진주한 후에 발생한 사건 중 하나”가 바로 좌익에 의한 우강면 창리 민간인희생사건이다. 희생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이날 사건 이후 인민군이 철수한 이후에는 반대로 좌익에 대한 우익의 폭력이 자행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수복직후 우강면 송산리 전파관리소에서 부역혐의로 좌익인사 70여명을 총살한 것”이라고 보고서는 기록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국군이 진주한 후인 10월초 송악면 한진리 한진앞바다에서도 경찰과 청년단에 의해 좌익 부역혐의자 다수가 학살된 사실도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이 보고서에 기록된 좌익희생사건 모두 본보 347호(2000년 11월 27일자)에 보도된 사안을 참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정부나 사회단체가 관심을 갖는 대형사건 외에 지방좌익이나 좌익부역혐의로 희생된 민간인사건은 좀처럼 진상규명이 안되고 있는 것.

우강면 전파관리소 좌익인사 총살사건을 다룬 2000년 본보 기사 가운데 한 줄로 그 이유를 미루어본다.  

“그때의 일이 너무나 충격적이었고 주위의 곱지않은 시선과 경찰의 감시에 시달려서인지 희생자 가족들은 하나둘씩 마을을 떠나 지금은 한집도 남지 않았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