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8 10:44 (목)

본문영역

지방자치 어디까지 왔나 - 대전 풀뿌리사람들 "공익적 시민활동 지원하는 풀뿌리사람들 "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쟁·자본 경제에서 협동과 사람 중심의 대안 경제로
풀뿌리 단체를 돕는 새로운 모델의 사회단체

 

<편집자주>
건국헌법의 지방 자치에 관한 규정에 따라 1949년 지방자치법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6.25전쟁과 군부 독재 정부에 의해 지방자치는 현실화되지 못했다. 이후 1988년 지방자치법의 개정과 함께 1991년 지방의회가 구성됐고, 1995년 6월 지방선거가 실시되면서 실질적인 지방자치 시대가 열렸다. 지역 주민들의 직접 투표에 의한 지방차지 실시 이후 16년이 흐르는 동안 5차례 선거를 거쳤고 2012년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이에 본지는 지방자치가 지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고 완전한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을 이루기 위한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취재는 충남미디어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김제선 상임이사는 ‘풀뿌리사람들’ 소개에 앞서 장안의 화제가 되고 있는 ‘나꼼수’ 이야기를 먼저 시작했다.
“행동하는 무당파가 늘어나고 있어요. 지지정당은 없지만 투표에도 참여하고 ‘안철수 신드롬’에서 보여지 듯 기회가 될 때마다 자신들의 요구를 표출하죠. 나꼼수도 마찬가지예요. 주진우 기자는 <시사인>이라는 주간지의 기자이지만 나꼼수에서 활동하고 있죠. 이러한 그룹들이 시민사회로 오면 특정단체에 속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활동을 할 수 있어요.”
김제선 상임이사는 “뿔푸리사람들에서 최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오픈컨퍼런스를 진행했는데 참가 청소년들이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스스로 컨퍼런스를 기획하고 포스터를 만들며 새벽 4시까지 일을 하는 모습을 봤다”며 “기성조직과 제도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시민과 조직, 그룹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상임이사는 “오랜 시간 시민단체 활동을 하면서 기존의 시민사회운동에 한계가 있다는 걸 느꼈고 시민사회운동을 중간에서 돕고 지원하는 단체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이르러 풀뿌리사람들을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먹고 사는 문제부터 해결하자”
풀뿌리사람들은 ‘공익적 시민활동을 지원하는 단체’다. 건강한 사회활동을 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민과 조직이 활동할 수 있도록 곁에서 돕는 지원단체인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서민들은 대개 ‘먹고 사는 문제’가 가장 큰 걱정거리다. 왜 많은 사람들이 먹고 사는 일, 즉 경제문제에 시달려야 할까. 풀뿌리사람들은 경제문제의 원인을 경쟁에 기초한 자본주의에 있다고 보고 협동과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시스템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대전은 대도시이면서도 생활불만이 심한 지역이다. 정치적 주체와 정체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지역으로 외부로부터 의존하는 외생적 발전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때문에 주거불안, 집값 불안정, 교육과 보육 문제, 일자리와 노후 불안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김 상임이사는 지역의 정체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문제로 짚었다.
대전 지역특성을 고려하고 서민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인 경제문제로 접근한 풀뿌리사람들은 새로운 대안 경제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협동’을 꼽았다.
“주민이 주민을 돕자! 마을회사를 만들자. 협동조합을 만들고 마을 사람들끼리 부업을 하고 마을에서 아이들을 함께 돌보고 가르치자. 마을 사람들끼리 재능을 기부하고 협동하면 비싼 학원을 보낼 필요가 없겠구나 생각했죠.”

주민들의 참여가 관건, 주민운동 역량 구축이 우선
당초 풀뿌리사람들은 사회 양극화와 자발적 주민운동의 필요성과 풀뿌리단체의 지원기관이 없다는 것, 공익적 시민활동 활성화의 필요성을 토대로 설립됐다.  사회적 양극화로 인한 주민들의 생활 불안이 심화되고 질 높은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는 반면 공공적 인프라와 공공서비스를 운영할 여건은 매우 취약하다고 판단한 것. 하지만 공공서비스가 늘어난다고 해도 주민들의 참여가 없다면 만족도는 높아질 수 없는 법이다. 그래서 풀뿌리사람들은 지역의 문제, 생활상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가 수용하고 해결하는 주민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돕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풀뿌리활동가 양성사업, 교육, 훈련 지원사업,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 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다.  초등학교 학군을 단위로 한 지역주민운동 역량을 우선적으로 구축하고 주민들이 만들고 운영하는 유기농, 의료, 보육 관련 생활협동조합운동, 어린이도서관만들기, 지역복지센터, 학교운영위원회와 주민자치센터 개혁과 참여운동을 시작했다. 또한 풀뿌리단체를 위한 모임·사무공간 지원과 공모컨설팅, 공익사업기금조성, 청년창업, 사회적 기업 보육 등도 진행 중이다. 2008년 설립된 풀뿌리사람들(www.pool.or.kr)에는 12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현재 풀뿌리사람들은 100개의 마을주민조직, 100개의 사회적기업, 100개의 공익활동네트워크, 100인의 풀뿌리지도자를 만든다는 목표아래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인터뷰 | 김제선 풀뿌리사람들 상임이사

“먹고 살기 힘든 사람도 참여할 만한 시민운동”


“시민단체에게는 시민들과 함께하려는 노력이 중요해요.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시민들이 참여할 만한 사회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김제선 상임이사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운동이 중요한데 기존의 시민운동의 한계는 잔여적 운동을 하고 있다”며 “본질적인 권력감시, 본질적인 삶의 대안을 찾는 사회운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즉, 먹고 살기 힘든 사람들도 참여할 만한, 참여하고 싶은 운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을 탓하고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문제를 스스로 깨닫도록 하고 자신이 스스로 변하도록 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해요. 그것을 기초로 협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죠. 풀뿌리사람들에서는 협동하고 연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풀뿌리사람들은 시민 스스로의 깨달음과 변화, 참여에 기초해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한 협동과 나눔을 지원함으로써 공익적 시민활동의 활성화와 발전을 꾀하는 단체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