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4-18 13:58 (목)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호순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요즘 20~30대에게 인기있는 드라마 중 하나가 tvN에서 방영하는 <응답하라 1994>다. 작년 여름 방영된 <응답하라 1997>의 후속 드라마인데, 과감하게 지방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다. <1997>은 부산에서 벌어지는 얘기였고, <1994>는 부산사람들이 서울로 이주해서 겪는 애환을 다루고 있다. 대부분 가정부나 조폭으로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던 지방 사람들이, 이제는 주인공이 되는 시대로 바뀌었다.
<응답하라 1994>의 인기는 젊은 층의 과거에 대한 향수를 반영한다. 드라마에 나타난 1990년대 생활상이 20~30세대에게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려 주기 때문이다. 50~60대에게는 지금이나 90년대나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20~30대에게는 그 때가 아주 오래 된 옛날인 것이다.
20~30대가 복고풍 드라마에 열광하는 것은 90년대와 같은 동질성이나 연대감을 지금은 느낄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요즘 20~30대들에게는 취업이 힘들고 미래가 암울하다는 것 말고는 서로 비슷한 것들이 별로 없다. 같은 시대를 살고 있지만 주변 사람들과 문화를 공유할 기회가 많지 않다. 과거처럼 여러 형제들 사이에서 성장하는 것도 아니고, 학교에서도 입시준비에 몰두하느라 친구들과 함께하는 경험이 거의 없다.
그러한 요즘 젊은이들에게 <응답하라 1994>는 집단 기억(collective memory)을 되살릴 기회를 주고 있다. 집단 기억은 공동체 구성원끼리 함께 간직한 기억으로, 작게는 가족 간에, 크게는 전 세계 사람들이 공유한다. 가족여행을 통해 만드는 집단 기억도 있고, 2002년 월드컵 4강과 같은 국가적인 집단 기억도 있고, 9·11 테러사건처럼 전 세계 사람들의 머리 속에 들어있는 집단기억도 있다.
집단 기억은 공동체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준다. 지난 대선에서는 한국전쟁과 새마을 운동을 기억하는 세대들의 정치적 결속력이 스마트폰으로 무장한 20~30대의 결속력을 무력화시켰다.
그런데 요즘 젊은 세대들은 집단 기억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가족단위의 집단 기억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고, 친구 대신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의지하면서 동시대인들과 공유할 문화가 없는 것이다.
지역사회에도 집단 기억이 거의 없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프로 스포츠가 지역사회의 집단 기억을 만들어 준다. 그래서 국가대표팀 못지 않게 지역 프로구단의 인기가 높다. 지역 스포츠팀의 성적이 지역사회에 대한 자부심과 지역주민들 간의 연대감에 크게 작용한다. 선진국에서는 지역언론 또한 지역사회의 집단 기억 제공수단이다. 지역 주민들이 지역에서 벌어지는 주요 뉴스를 공유함으로써 서로 잘 알지 못하고 직접 교류하지 않더라도,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고취시켜 준다.
그러나 대한민국 지역사회는 집단기억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이 서로 함께 회상하며 맞장구를 칠 “공유하는 추억”이 없다. 프로 스포츠팀이 지역연고제로 운영되지만, 지역사회를 대표하기 보다는 재벌의 홍보수단으로 머물고 있다. 올해 미국 프로야구의 우승팀은 ‘보스톤’ 레드삭스이지만, 한국 프로야구 우승팀은 ‘대구’가 아닌 ‘삼성’ 라이온즈이다.
지역언론의 보급율이 낮아, 언론을 매개로 지역사회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지역문화도 정착되지 못했다. 고향 사람들끼리 모이면 ‘서로 아는 사람 찾기’ 하다 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응답하라 1994>는 인기 드라마가 되었지만, <응답하라 2013>은 그럴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나 집단 기억을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