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주민 참여로 지역을 살리는 풀뿌리 지역공동체 9]
정책과 예산에 주민 직접 참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림읍 주민자치센터

 

▲ 한림읍주민자치위원회가 소나무 고사목을 치우며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낯설면서도 정겨운 제주도 방언이 사라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최초로 2007년 ‘제주어 보전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하지만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결실을 맺을 수 없는 일이었고 여기에 주민들이 나서서 제주어 살리기에 활력을 불어 넣었다.

한림읍 주민자치센터에도 지역에서 살아온 방언에 능숙한 주민을 강사로 초청해 제주어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통음식과 발효효소 만들기, 지역의 버려지는 자원을 활용한 DIY 등 지역문화와 전통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공모해 시행하고 있다.

주민 의견 모아 예산 편성

한림읍주민자치위에서 문화·여가 선용의 프로그램은 단지 일부분일 뿐이다.
강창욱 주민자치위원장은 “주민자치의 본질은 ‘주민자치’라는 단어 안에 고스란히 있다”고 말한다. 그만큼 위원회의 역할은 주민을 위해 움직이는 단체라는 의미다.

한림읍주민자치위에서는 한림읍에 어떤 것이 필요한지, 무엇을 개발해야 할지 주민들의 의견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주민참여예산제를 통해 읍·면의 경우 5억 원의 예산이 주어진다. 이 예산으로 주민들은 지역에 필요한 것들을 논의하고 제주도정협의회에 안건을 올려 심사를 거친 뒤 지자체에 사업이 반영되는 절차를 밟는다.

강 위원장은 “공식적으로 의견을 전달하기에 지자체에서도 주민들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답변을 주지 않으면 안 된다”며 “또한 주민들의 의견을 모아 공모를 한 것이어서 예산을 오로지 주민들을 위한 곳에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주민 함께 참여해

한림읍의 경우 한림대학교 대학원에 국제학교가 들어섰으며 관광 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타 지역의 인구 유입과 동시에 토박이들의 노령화로 노인인구 비율이 높아져가고 있는 곳이다.
유입인구와 토박이, 젊은층과 노년층을 통합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를 위해 한림읍주민자치위에서는 적극적으로 유입인구들의 목소리를 담아냈으며 노년층 또한 주민의 일원으로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갔다.

강 위원장은 “토박이들은 항상 보던 것이기에 주변에 있어도 (자원들에 대한) 소중함을 모르지만 이주민들은 이를 알고 색다른 아이디어를 제시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노력 덕에 발효효소·전통음식 만들기에 이주민들의 참여가 높아졌고, 지역 어르신을 강사로 활용하는 등 세대를 아우르는 주민자치센터를 갖춰 나가고 있는 것이다.

 


인터뷰 강창욱 한림읍 주민자치위원장

“주민과 함께 소통해야”

주민자치의 본질적인 의미는 이 단어 안에 들어있어요. 얼만큼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소통하느냐에 따라서 주민자치가 완성되죠. 주민자치는 주민 위에 군림하는 것이 아닌 주민들과 함께 활동해야 해요. 주민 모두 행복해야만 주민자치의 꽃이 핀다고 생각합니다.

<편집자주> 지난해 당진시 14개 읍·면·동에 모두 주민자치센터가 설치돼 각각 운영하고 있다. 주민자치센터는 지역공동체 형성의 구심점으로 풀뿌리 민주주의와 지방자치의 기초로서 그 역할을 해야 하지만 여전히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주민자치위원장 릴레이 인터뷰>에 이어 ‘주민 참여로 지역을 살리는 풀뿌리 지역공동체’를 기획 취재·보도함으로써 지역과 국내외 사례를 제시해 주민자치센터 및 위원회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기획은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취재·보도 됩니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