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8 10:44 (목)

본문영역

  • 칼럼
  • 입력 2017.08.21 11:16
  • 호수 1171

[칼럼] 이동준 당진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도시재생은 ‘관계의 재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무실 앞 점포, 의류판매점을 하는 것 같더니 또 비었다. 건물주인은 바뀌지 않은 것 같은데, 간판이 자주 바뀐다. 빈 점포가 많으면 그만큼 뭐가 잘 안 된다는 것인데, 그래서인지 최근 들어 도시재생에 대한 지역에서의 움직임도 많아 보인다.

 도시재생에 대해 어떤 사람들은 오래된 건물을 부수고 넓은 주차장과 높은 빌딩을 만들어야 한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오래된 건물일수록 원형을 보존하면서 문화와 숨결을 담아 많은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도시계획 중에 재건축과 재생의 경계를 모호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있다. 재건축은 완전히 새로 짓는 것이고, 재생은 보수해서 고치는 것이라고 ‘딱!’ 규정짓기가 어렵긴 하다. 외형으로는 그렇게 얘기할 수 있지만, 도시재생은 관계의 재생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오래된 떡집이 하나 있다고 하자. 그 떡집에서 어린 시절 생일 떡을 맞춰 먹던 사람이 나이가 들어서 그 앞을 지나갈 때면 추억이 되살아날 것이다. 그 시절 떡을 만들던 사람의 후손이 지금도 떡을 만들고 있다면 더욱 그럴 것이다.

 도시는 항공사진에 찍힌 멋진 야경처럼 시각적 ‘공간’의 의미도 있지만, 그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온갖 애환이 깃들어 있는 ‘시간’과 사람들끼리의 ‘관계’도 함께 담고 있다. 도시재생은 그런 시간과 관계들도 지우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복원한다는 함축적 의미도 있다.

 지자체마다 도시재생이 화두가 되어 활발하게 선진지 견학을 다니며 고심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양질의 교육인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것인지, 주민 참여가 보장되어 있는지, 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이 잘 되고 있는지, 도시의 지속성이 고려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성찰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을 전혀 모르는 업주(엔지니어링 회사)가 주민을 조직(?)하고, 주민교육을 진행하며 심지어 중간지원조직(도시재생센터)까지 운영하는, 웃지 못 할 현실을 겪은 타 지역의 사례도 있다. 그 지역 시민들은 해당 행정부서랑 이해관계가 있는 교수와, 그 교수 혹은 제자의 이해관계가 얽힌 업체가 일명 ‘도시재생 카르텔’을 형성하여 오히려 지역을 망치는 적폐현상을 경계해야한다고 뒤늦게 비판하며 경종을 울리고 있다.

 도시재생은 단순한 토목․건설 사업이 아니다. 지역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사회, 경제, 환경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협력적 과정으로서 진가를 발휘한다. 국비를 포함하여 혈세로 진행되기 때문에 시민을 대상화하거나 업주들 주머니만을 불리는 사업이 되어선 정말 곤란하다. 지역 주민, 마을활동가, 전문가, 행정이 협동하여 모든 주체의 관계, 과거와 현재의 관계까지 나아지게 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어야 한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