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기자수첩] 임아연 당진시대 편집부장
당진신문은 왜 본질에서 벗어난 가십기사를 냈을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당진시대는 지난해 3개의 문화예술 행사에 지원된 지방보조금 문제를 연속해서 다뤘다.

최초의 시작은 일명 ‘의원 재량사업비’였다. ‘주민숙원사업비’로도 불리는 의원 재량사업비는 사실 예산서를 탈탈 털어도 잡히지 않는 유령같은 존재다.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지역주민들의 소규모 숙원사업이 예산편성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에서 의원 개개인에게 특정 금액을 배분해 주는 것이 의원 재량사업비다. 의원은 예산 심의·의결의 기능을 할 뿐 편성 권한은 없지만, 유독 의원 재량사업비 만큼은 의원이 예산편성을 행정부에 건의할 수 있다. 당연히 의원이 건의해 세운 예산이니까 의회 심의 과정에서 깎이거나 부결되는 일은 거의 없다.

의원들은 수시로 지역주민들을 만나고, 의견을 들을 기회가 많기 때문에, 의원 재량사업비가 꼭 불필요한 것만은 아니다. 힘없고 관심이 적은 사안이지만 꼭 필요한 예산을 의원의 힘을 빌려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의원 재량사업비가 정치적으로 활용돼 지역구 관리를 위해 쓰인다던지, 의원과 친분이 있거나 로비를 통해 특정 개인이나 단체를 위해 쓰인다던지 하는 일이 생기기 때문에 그동안 의원 재량사업비는 의원들의 ‘쌈짓돈’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다른 공모사업과 달리 계획이 엉성해도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문제가 돼왔다.

그동안 당진시대에 보도됐던 3개 사업에 대한 예산도 마찬가지다. 당진시대는 이 사업들이 의원 재량사업비를 통해 편성된 예산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지난 1월 정보공개청구를 진행했다. 역시나 여러 문제점이 발견됐다.

당진시대 보도의 핵심은 ‘보조금’에 있다. 예산이 정상적으로 편성됐는지, 예산이 적정하게 사용됐는지, 그리고 제대로 정산을 했는지, 나아가 지난 사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다음해 예산이 적정하게 편성됐는지를 점검하는 게 당진시대 보도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혈세인 지역 예산이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감시하는게 언론의 사명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당진신문은 ‘보조금’ 문제라는 핵심은 외면한 채, 극단 당진이 “시립극단 창단을 막으려는 조직적 흠집내기”라고 반박한 기자회견 내용에 집중하며 본질을 흐리는데 일조했다. 정치인도, 선출직 공무원도 아닌 한 사인(私人)이 사적인 자리에서 했던 이야기를 녹음하고, 보도 한 달 전에 보낸 문자메시지를 취재 전날 보냈던 것인 양 공개했던 극단 당진의 주장을 전혀 거르지 않았다. 특히 당진시대 관계자로 보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당진시대 관계자’라고 강조했던 그들의 프레임을 그대로 가져와 기사화했다.

자극적인 단어들로 넘쳐났던 가십을 본질 위에 덧씌웠던 당진신문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왜 그러한 기사가 내부적인 게이트키핑 없이 어떻게 그대로 지면에 실릴 수 있던 것일까?
혹여 당진시대 기사의 본질을 의도적으로 헤치려 했던 것이라면 깊은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누군가를 상대편에 두려는 정파적 관점은 우리가 추구하는 저널리즘이 아니다. 올바른 지역언론의 길을 가고자 한다면 오로지 문제의 본질을 찾아 콘텐츠로 경쟁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