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8 10:44 (목)

본문영역

[의정칼럼] 철저한 봄 가뭄 대책으로 농민근심 덜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계양 충청남도의회 의원

한 해 농사의 서막을 알리는 봄이 되면 우리 농촌은 어김없이 불안에 휩싸인다. 바로 연례행사처럼 되어 버린 봄 가뭄 때문이다. 매년 겨울눈과 봄비가 줄어드는데다, 물 관리에도 문제가 있다 보니 농업용수는 물론 생활에 필요한 물까지 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수 년 동안 충남의 봄 가뭄과 강수량 현황을 보면 2015년 극심한 가뭄으로 서산, 보령, 홍성 등 서북부지역이 제한급수를 겪었고 2017년 봄 가뭄이 심했던 천수만 일대 쌀 생산농가의 가뭄 피해액이 5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도 심각하여 2016년 5월17일부터 1년 동안 도내 누적강수량은 864.3mm로 평년(1280.5mm)의 67.4%에 불과했고 2017년 5월 한 때 보령댐의 저수율은 10.6%대에 머물러 예년(38.4%)수준에 크게 못 미쳤다. 예산, 홍성, 당진지역 농업용수원인 예당저수지 저수율도 34.1%를 기록해 최악의 가뭄이라던 2012년 저수율(41.9%)보다도 낮아 모내기를 미루는 농가가 속출하는가 하면 간척지는 주변 저수지의 염분 농도가 상승해 이중고를 겪어야만 했다. 

2018년 2월에 금강물을 도수로로 공급받던 보령댐 저수율이 26.5%까지 떨어지는 등 봄 가뭄에 대한 공포감이 고조됐으나 다행히 2017년과 같은 큰 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는 그런대로 넘어갔지만 근본적인 가뭄해소 대책이 속 시원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모내기철을 앞둔 요즘 농촌은 다시 물 걱정을 하고 있다. 

정부나 각 지자체마다 가뭄대책에 분주하다. 정부는 지난 2월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가뭄경보단계를 기존의 3단계(주의-경계-심각)에서 관심을 추가하여 4단계로 세분화하며 약한 가뭄(관심)단계 부터 능동적으로 대책 추진에 나서고 있다.

전북도의 경우 1200억 원을 투입해 상습가뭄발생지역에 저수지, 양수장, 용수로 등 수리시설 설치와 토사 퇴적이 많은 저수지 준설 및 가뭄 취약지 관정개발, 노후저수지 및 농업기반시설물에 대한 개보수에 신속히 나서고 있다. 

충남도 또한 가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2017년 9월 국토교통부와 충남도가 지역 내 가뭄피해를 조사하고 항구적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지역여건에 적합한 대책을 마련하여 도민들이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효율적인 관리에 나서고 있다. 논물가두기 운동 등 각 시군마다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고무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도가 매년 수 천 억 원대의 막대한 예산을 가뭄 대책에 쏟아붓고 있지만 피해가 재발되고 추가 예산이 투입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에 대해 근본적인 성찰과 항구적인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집행부가 보다 귀를 기울여 당장 눈앞에 다가온 봄 가뭄 대비책과 함께 항구적 가뭄해소대책 추진에 속도를 내는 투트랙 전략을 적극 펼쳐야 할 것이다. 

충남은 지난 몇 년 동안 봄 가뭄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제철 만난 꽃잎들이 화사함을 뽐내는 본격적인 봄철 영농기를 맞아 기지개를 편 농촌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지만 가뭄에 대한 우려로 농민들의 이마에 주름살이 깊어진 듯 해 안타깝기 그지없다. 가뭄이 천재(天災)라지만 막을 수 있는 피해가 되풀이된다면 인재(人災)일 수밖에 없다. 사전대책 추진 등 철저한 대비로 가뭄피해가 없도록 도 집행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해 줄 것을 거듭 당부한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