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8 10:44 (목)

본문영역

  • 칼럼
  • 입력 2021.03.08 11:16
  • 호수 1346

[NGO칼럼] 이기동 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
언론의 실명보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수많은 정보들 중 아마도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언론사의 ‘뉴스’일 것이다. 매일 셀 수 없을 만큼 쏟아지는 언론보도를 통해 세상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소식은 물론,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건과 사고, 그리고 사회문제를 접하게 된다. 언론보도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보도가 모두 진실이고 정확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짜뉴스나 왜곡보도로 사실과 다른 보도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최근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비판이 커지는 이유는 언론보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무너졌기 때문이다.

실제 영국 옥스퍼드대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에서 발행한 ‘디지털 뉴스리포트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언론 신뢰도 순위는 조사대상국 40개국 중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신뢰도 역시 21%에 불과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2명 정도만이 언론을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의 신뢰가 추락한 이유는 언론 스스로 자초한 탓이 크다. 국민의 알 권리보다는 언론사의 이익을 위해 때론 권력의 횡포에 눈감고, 광고와 기사를 바꿔치기하기도 하고, 사주의 입맛에 맞는 보도를 일삼는 언론으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언론의 외부 환경 외에도 언론의 잘못된 취재 관행이 발목을 잡기도 한다. 출입처 제도가 대표적이다. 출입처 제도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제보와 사실 확인’ 이라는 현장 중심의 취재가 사라지고 출입처의 보도자료에만 의존하는 취재 관행이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출입처를 통해 나오는 대부분의 보도는 정부와 자치단체, 혹은 공공기관 및 기업들이 쏟아 내는 보도자료에 의존해 보도되고 있다. 이른바 ‘Ctrl+C+V’(복사해 붙여넣기)로 사실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 그대로 보도된다는 점이다. 이런 보도가 관행적으로 이루어다 보니 행정기관에 대한 비판 보도 역시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 대전·세종·충남지역 주요 일간지 및 인터넷신문을 대상으로 보도자료 의존 비율을 조사했더니 평균 64.2%로 나타났다. 국민의 알 권리와 취재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출입처 제도가 오히려 국민의 알 권리를 막고,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언론사의 취재 보도 과정에서 실명보도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이다.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신문윤리실천요강 제5조 취재원의 명시와 보호 규정을 보면 “보도기사는 취재원을 원칙적으로 익명이나 가명으로 표현해서는 안되며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취재원을 빙자해 보도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언론의 보도는 실명보도가 원칙이다. 익명보도는 최소한으로 제한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 언론은 지나치게 익명 보도가 많아 문제다. 익명보도는 보도 출처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고, 취재원을 통한 기사의 책임과 신뢰를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언론이 대부분의 취재원을 지나치게 익명처리 하는 것이 문제이지, 실명보도를 하는 것이 질타의 대상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