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칼럼
  • 입력 2021.08.03 11:05
  • 호수 1367

[교육 칼럼]한은경 마을교육공동체 어울림협동조합 이사장
마을이 살아야 교육도 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일자리의 미래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7세 아이들의 65%는 지금은 없는 직업을 가질 것”이라고 했다. 평생직업의 개념이 사라져감에 따라 아이들은 하나의 직업 대신 ‘일’을 바꿔가며 환경 변화를 주도적으로 헤쳐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학교 교육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담아내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4차 산업혁명으로 통칭되는 미래사회는 표준화, 획일화, 입시 위주 경쟁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금과 다른 교육이라야 다른 미래를 열 수 있다’는 말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입에 올리는 말이고, 이러한 성찰적 고민이 ‘마을’을 호출했다고 볼 수 있다. 전국적으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은 공교육의 문제를 더이상 학교만의 문제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현실의 반증이다.

이렇게 현실 교육의 문제를 함께 풀어내기 위해 고민된 마을교육공동체는 교육을 중심으로 학교와 마을이 역할을 분담하고 교육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상생공동체’라는 의미가 있다. 마을은 아이들의 배움터가 되어야 하고 삶의 터전이 되어야 한다. 아이들이 학교뿐만 아니라 마을의 자연, 사회, 삶 속에서 살아있는 배움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와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 마을이어야 한다.

마을에서 자라나며 배운 아이들이 마을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고, 그 마을에서 살아갈 때 마을공동체와 교육공동체는 상생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해나갈 수 있다. 이렇게 마을을 살리는 교육을 하려면 마을이 교육의 중심에 서야 한다. 마을주민들이 교육의 주체로 각성하고 마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마을 내 공공기관, 민관 기관들도 마을의 교육력 강화에 적극 협력해 나서야 한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간디는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고 말했다. 아이를 키우고 성장시키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듯 마을이 공동체성을 유지하면서 지역의 선순환적 발전과 지속가능한 상생 발전은 세계를 구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리라. 그래서 학교와 마을이 적극 협력하고, 상생의 방법을 찾아가야 한다. 학교가 마을과 괴리된 섬으로 존재하고, 마음이 학교에 무관심한 상태를 벗어나 학교와 온 마을이 모두 아이들이 배우고 성장하는 터전이 되어야 한다.

배움과 성장이 지역사회, 마을로 확장되려면 학교와 마을의 상시적인 협력구조가 작동해야 한다. 마을과 학교, 행정기관이 모여 우리지역의 아이들을 우리지역 안에서 어떻게 키워나갈 것인지를 토론하고, 연구하고 배워야 한다.

이러한 교육의 목표 이행을 위해서는 민·관·학의 상설적인 연계와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특히 일반자치와 교육자치가 분리돼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거버넌스 구축은 필수 조건이다.

교육청과 지자체로 분리돼 있는 구조를 뛰어넘어 지역과 마을을 살리는 관점으로 과감하게 협력해야 한다. 읍·면·동 단위에 서는 학교와 지역이 소통해야 하고, 시·군·구 단위에서는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력해야 한다. 협력이 일상화되고 제도화돼야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