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읍면소식
  • 입력 2023.02.10 21:48
  • 수정 2023.02.14 00:44
  • 호수 1442

면 지역 인구소멸 눈앞에…대책 없는 당진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호지·정미·고대·면천·순성 인구 절반이 노인대호지면은 지난 한 해 동안 출생한 아이 2명 뿐 2045년 노인 인구 28.9% 전망…지역소멸 현실화

당진시청 전경
당진시청 전경

 

지방의 인구소멸 문제가 현실로 닥쳐오고 있지만 정부도, 지자체도 사실상 아무런 대책이 없는 상태다. 지역이 고령화로 늙어 가는 것을 넘어 사라질 위기에 직면해 있다. 당진시의 경우에는 지난 2020년 이후 인구가 소폭 상승하는 추세로 돌아섰으나, 인구 대부분이 당진동과 송악읍 등 시내권에 집중돼 있다. 면 단위 지역은 고령화율(전체 인구에서 만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육박하고 있다. 

14개 읍·면·동 중 9곳 ‘초고령 지역’

UN에서는 고령인구(만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경우 ‘고령화 사회’ △14% 이상일 경우 ‘고령 사회’ △20% 이상일 경우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당진시 14개 읍·면·동 중 9곳이 초고령 지역이다. 

특히 인구의 절반, 즉 노인 인구 비중이 50%에 육박하는 곳은 △대호지면(49.7%) △정미면(42.5%) △고대면(41.5%) △면천면(40.5%) △순성면(40.5%) 등이다. 10명 중 절반에 이르는 4~5명이 노인인 것이다. 이밖에 △우강면(37.5%) △합덕읍(37.2%)도 머지 않아 노인 인구 비중이 4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석문면(27.7%) △신평면(21.3%)도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 지역이며, 산업체가 많아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가 다수 거주하고 있는 △송산면(18.4%) △송악읍(14.9%)은 ‘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시내권인 △당진1동(11.0%) △당진2동(12.6%) △당진3동(10.6%)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 해당한다. 

당진시 고령화율 30년 사이 급증

당진시의 고령화는 지난 30년 동안 꾸준히 진행돼왔다. 5년 단위로 보면 1990년대에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격히 고령화율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2002년 이후 완만하게 진행되다 2017년 이후 또다시 가파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젊은 인구를 수혈하지 못한 채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인구소멸·지역소멸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충남연구원에 따르면 당진시 고령화율은 2035년에 24.3%, 2045년에 28.9%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며 ‘소멸위험진입지역’으로 분류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는 당진시 전체에 대한 분석으로 읍·면 지역의 경우에는 이미 인구가 없어 마을이 사라졌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한 해 동안 당진시에서 881명의 아이가 태어난 반면 1337명이 사망했다. 고령 비율이 가장 높은 대호지면에서는 지난해 단 2명의 아기가 태어났다. 최근 “시골에서는 아이 낳으면 ‘드디어 아기가 태어났다’며 현수막이 붙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지역소멸 위기…사회복지 비용 증가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인구소멸과 지역소멸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당장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불러올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은퇴 후 생계가 불안한 노인들은 저소득층으로 전락해 사회복지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진시 통계에 따르면 만65세 이상 독거노인 수(△2017년 7807명 △2018년 8223명 △2019년 8531명 △2020년 8441명 △2021명 9239명)가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이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는 2017년 587명에서 2021년 1392명으로 4년 동안 805명이나 늘었다. 소득 하위 70%인 노인에게 연금을 주는 기초연금 수급자도 매년 늘고 있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2017년 1만7821에서 2021년 2만1994명으로 4173명이 증가했다.

생산성 있는 젊은 인구가 수도권과 대도시로 몰리면서 소도시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 균형 발전 및 출산율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국가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지자체 차원에서는 청년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 마련, 노인 일자리 창출, 나아가 농촌 일손 부족 문제 해결 등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 

당진시 문제의식·고민 부족  

하지만 당진시는 전체적인 인구 증가를 위해 기업 유치와 정주여건 개선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한 면 단위 대책은 사실상 부재한 실정이다. 오성환 당진시장은 지난달 31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당진시 인구가 당진시내권과 송악에 몰려 있고 대호지와 같은 면 지역은 고령화지수가 50%가 넘는다”며 문제의식을 드러내기는 했으나, 면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소멸 대응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대책은 내놓지 못했다. 

오 시장은 당시 “대호지 쪽에 고속도로 IC가 생길 예정으로, 이 일대에 골프장 투자자가 나타나 골프장 조성을 위해 땅을 80% 정도 매입한 상태”라며 “또한 온실 스마트팜 사업자가 투자 의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지역에 산업단지를 추진하는 등 주요 사업을 적절히 배분해서 인구가 정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라나 골프장과 스마트팜 조성은 대호지면 뿐만 아니라 소멸 위기에 처한 면 단위 인구 증가를 위한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당진시 주요 사업을 적절히 배분한다는 것이 구체적이지 않고, 지역소멸의 근본적인 문제의식과 고민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