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8 10:44 (목)

본문영역

  • 사회
  • 입력 2009.07.27 00:00
  • 호수 771

면천 농촌체험 수미마을 운영 중단, 방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군비로 마련된 수미마을 찜질방이 폐허로 방치되고 있다.

군·국비 3억여원 투자, 5년 만에 중단돼
사후 관리 안돼 예산 낭비로 이어져 

군비를 포함해 총 4억5천여만원의 예산이 투자된 면천면 삼웅2리 녹색농촌체험마을인 수미마을이 최근 1년간 운영이 중단된 채 방치되고 있어 예산낭비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 삼웅2리 입구 녹색농촌체험마을 지정을 알리는 표지판은 보이지 않게 바닥으로 내려져 있다. 농협중앙회 등에서 지원해 2300만원을 들여 지은 옹기체험장 등이 설치된 건물은 폐쇄돼 있다. 군비 5천만원으로 지어진 황토찜질방도 굳게 닫혀있으며 주변 체육시설에는 풀이 우거져 있고 쓰레기도 방치돼 있다.
지난해 7월 26일자로 전기를 끊었다는 마을 주민의 말에 의거, 1년 가까이 체험마을의 운영은 사실상 중단된 채 방치되고 있는 것. 
주민 김모(당진읍 읍내리)씨는 “지난 주말에 바람을 쐴 겸 수미마을로 나들이를 갔다가 풀이 우거지고 관리가 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것을 목격했다”며 “체험마을이라면 군이나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해 줬을 텐데 관리가 되지 않는 것은 예산 낭비 아니냐”고 지적했다.
수미마을은 지난 2003년 팜스테이로 지정돼 군비 1억1천만원, 농협 지원금 8천만원, 자부담 2천만원을 포함 총 2억1천만원을 투자해 공동샤워장, 옹기체험장 등을 설치했다. 이후 2004년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선정된 수미마을은 국비 1억원, 도비 3천만원, 군비 7천만원 등 총 2억원을 지원받았다. 지원비로 황토찜질방, 팔각정, 휴스호스텔 시설 등을 마련했다.
군비를 포함해 초기시설 투자비로 3억여원의 정부 지원금이 투자됐지만 시설 투자 지원 이후 사후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전혀 없다. 체험마을 운영이 전적으로 주민들에게 맡겨지는 것. 사업 초기에는 마을 주민 대부분이 참여해 선지지로 교육을 받으러 다니고 제법 활성화 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마을 주민간의 마찰이나 운영난 등으로 인해 결국 사업이 좌초되기에 이르렀다. 초기 투자금만 지원해 주고 사후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데다가 사업이 중단된 이후에도 행정기관은 이렇다할만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미마을 한 주민은 “사업이 어느 정도 자리가 잡힐 때까지 지속적인 도움과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데 처음 시설 투자 이후에 어떤 지원도 이뤄지지 않아 체험마을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많이 겼었다”고 토로했다.
한편 당진군청 농산과 담당자는 “주민간의 불화로 인해 사업이 중단된 것이어서 그동안 체험마을 대표와 주민들을 여러 차례 만나 다시 시작할 방안 등에 논의했지만 쉽지 않았다”며 “곧 마을 주민회의를 열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수미마을 운영 왜 중단됐나

참여농가와 마을주민간의 갈등으로
수익분배, 체험마을 참여 여부 등으로 인해
“군 사업 지정만 하고 관리, 감독 못해” 

2003년 농협의 팜스테이로 지정된 삼웅2리는 이듬해 정부에서 선정, 지원하는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지정돼 본격적인 체험마을 운영을 시작했다.
사업 초기에는 마을 주민 대부분이 참여해 공동으로 체험마을을 운영했다고 한다. 허나 몇년 뒤부터 체험마을 참여 농가와 일부 주민들 간에 갈등이 시작됐다. 그 과정에서 체험마을 대표직을 맡고 있던 당시 이장이 이장 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체험마을 참여 농가는 “꽈리고추 제배로 일손이 모자라는 등 주민들의 체험마을 참여도가 낮아져 적극적으로 참여할 농가 7곳을 중심으로 회원제로 전환해 실시했다”며 “이후 2명의 주민들이 체험마을 운영에 불만을 제기해 운영이 어려워졌다”고 주장했다.
반면 다른 주민은 “체험마을 참여 농가가 수익금이나 지원받은 농기계 등을 마을 주민과 함께 나누거나 사용하지 않고 이익을 챙겨 마을 주민 간에 갈등이 생겼다”고 주장했다.
체험마을 운영과 수익금 분배 등으로 인한 갈등은 비단 수미마을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운영위원장이 자주 교체되는가 하면 심지어 마을 내 기존 조직과 갈등을 겪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군 담당부서의 책임론도 불거지고 있다. 당초 사업 선정 당시 운영 방안과 주민 참여 방식, 수익 분배 등 사후 관리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지 않았다는 것.
수미마을 한 주민은 “녹색체험마을로 지정해 놓고 관리 감독을 하지 않은 군에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