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뉴스
  • 입력 1998.09.07 00:00
  • 호수 239

기획 / 호우피해 되돌아 보니 - ①하천범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실한 하천관리 수해 키웠다”
제방미비·상류보다 좁은 하류 등 안목없는 정비사업도 문제

8월 8일~9일 사이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당진천, 염솔천, 천의천, 마중천 등 군내 준용하천이 범람하고 제방이 터져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대부분을 단 하룻동안 340㎜를 퍼부은 사상 초유의 폭우가 하천범람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데 수긍하고 있다.
준용하천의 경우 정비사업을 한다해도 50년 동안의 일일 평균 강우량을 기준으로 설계하는데 당진의 경우 1일 강우량 230㎜, 시우량 50㎜를 설계기준으로 놓고 있으나 이번에 우리지역에 쏟아진 폭우는 최고 시우량이 무려 136㎜를 기록한 것이다.
그러나 꼼꼼히 살펴보면 이번 수해를 오로지 천재지변 탓으로만 돌리기에는 어려운 구석이 너무 많이 발견된다. 특히 일부 하천은 상습적으로 수해를 내는 곳으로 부실한 하천관리가 재앙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정비되지 않은 부실제방“당진천”
당진읍내를 관통하는 당진천은 정비사업이 진행되지 않은 제방이 세군데나 터지는 바람에 신시장, 읍내 상가 등 점포 927동이 물에 잠겼다. 당진천은 지난 96년과 97년, 하류인 우두리 구간과 상류쪽인 대덕리 구간이 일부 정비됐다. 그러나 이번에 둑이 터진 곳은 주민들이 수년전부터 정비사업을 요구했던 당진3교에서 한전앞까지 2군데이며 하류쪽에서는 정비사업이 이뤄지기 직전 구간이 터졌다. 즉, 부실한 제방이 폭우를 감당하지 못해 수해를 낸 것이다.
특히 시장주민들은 당진군이 상류쪽을 먼저 정비하고 정작 아래 하천은 폭이 좁은 자연상태로 방치해 놓은 바람에 병목현상을 일으켜 수해를 당했다며 이번 수해를 인재로 규정, 군을 상대로 피해보상 소송을 걸겠다고 벼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군은 정비되지 않은 구간은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연결되는 차집관로 매설공사가 계획된 곳으로 미리 정비했을 경우 이후 재시공의 우려가 있다며 상류쪽을 먼저 정비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을 기준으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가렸는가를 따지고 본다면 군의 해명은 궁색하기만 하다. 또한 96년 5억원을 들여 정비한 당진천 하류는 고수부지 높이가 상류쪽에 비해 오히려 높은데다 호안공사도 홍수가 났을 때를 예상, 제방쪽으로 바짝 붙여서 시공해 하천면적을 최대한 확보해 놓아야 함에도 고수부지는 그냥 남겨 놓은 채 하천 안쪽을 잠식해 공사하는 바람에 상류에 비해 육안으로 보아도 폭이 좁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나팔처럼 하류쪽이 넓게 확장되어야 할 하천정비를 주먹구구식으로 하다보니 물흐름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군은 이에 대해 “설계 홍수량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공사자체는 문제가 없었다”면서도 “재해예방 차원에서 이후 고수부지 높이를 깎고 제방쪽으로 호안공사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막대한 예산들여 상류정비
정작 하류는 꽉막혀
정미면 천의천은 지난 95년 수해 때에도 범람했던 곳. 그러나 군은 이후 천의천에 대한 어떠한 방재사업도 벌이지 않아 이번 호우때 천의시장이 완전히 잠겨 장옥 6동이 전파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냈다. 천의천에는 교량대신 박스암거가 놓여져 있다. 이 암거는 나무, 쓰레기 등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해 물흐름을 방해, 주민들은 하루속히 교량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96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 그해에 정비공사가 시작돼 지난해 준공된 염솔천은 그러나 올해에도 범람해 승산리 하천변 상가와 하류쪽 일시경작지가 침수피해를 입었다. 군은 이곳도 역시 집중호우가 하천범람의 원인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과연 그럴까. 승산리 염솔천에는 하천정비를 하면서 다리를 새로 놓았다. 그러나 군은 정작 새 교량보다 높이가 낮고 교량길이도 짧은 옛다리를 철거하지 않았다. 게다가 옛다리는 새 교량의 바로 옆에 붙어있어 이번 수해때 물막이 구실을 톡톡히 했다는게 주민들의 지적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대호일시경작지와 연결되는 염솔천의 하류이다. 농진이 관리하는 이곳은 일부 주민들이 고수부지에 논농사를 지으면서 침수를 막기위해 하천쪽으로 다시 제방을 쌓아 놓았다. 그러다 보니 자연 물이 흐르는 면적은 갈수록 좁아져 어느 곳은 맞은편 고수부지로 사람이 건너 뛸 수도 있을 정도가 됐다. 게다가 이곳은 갈대까지 무성해 이중삼중으로 물흐름을 막고 있다.
상습침수피해를 해소한다는 취지로 막대한 예산을 들여 상류쪽을 정비해 놓고도 정작 중요한 하류가 꽉 막히도록 방치한 것은 관리기관이 어디냐를 떠나 한치 앞을 못보는 방재행정의 헛점을 그대로 드러내주는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해마다 되풀이 되는 이곳의 침수피해는 관계기관의 소홀한 하천관리와 주민들의 무분별한 불법행위가 빚어낸 인재라는게 관심있는 주민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방재의식의 부재가 낳은 인재는 없었나
해마다 수해를 입은 대호지 마중천을 비롯 당진읍의 용연천 등은 주민들이 수년전부터 방재사업을 건의해 왔으나 반영되지 않은 곳으로 예산배정에 있어 의식전환이 절대 필요하다. 지난해부터 정비에 들어간 마중천은 올해 4억원을 들여 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나 이미 막대한 농경지 매몰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겐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 돼버린 셈이다.
쏟아지는 비를 막을 방법은 없다. 그러나 그것을 어떻게 소화하느냐에 따라 피해는 절반으로 줄수도 배가 될 수도 있다. 방재사업에 대해 일정한 예산의 비율로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함으로써 획기적으로 피해를 줄였다는 일본의 예까지 굳이 들지 않아도 우리지역에 닥친 이번 수해는 강우량이 몇 ㎜였냐를 계산하기에 앞서 방재의식의 부재가 낳은 인재성 피해는 없었는지 먼저 따져보는 것이 훨씬 발전적일 것이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