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4-26 19:24 (금)

본문영역

  • 칼럼
  • 입력 2024.02.02 20:06
  • 수정 2024.02.02 20:07
  • 호수 1491

[NGO칼럼] 강희연 (사)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당진지회장
경계선지능인 아이들에게도 희망의 삶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경계선 지능인들을 위한 포럼에 다녀온 적이 있다. 그곳에서 경계선 지능인과 함께 생활했던 한 공무원이 했던 이야기는 참으로 마음 아프게 다가왔다. 

“내가 회사 사장이라면 직원으로 뽑을 것 같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문득 경계선 지능을 가진 우리 아이의 미래가 걱정됐다. 과연 경계선 지능인 아이들에게 밝은 미래가 있을까? 그 아이들은 평범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경계선 지능은 정상 범주보다는 지능이 떨어지지만 지적장애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표준화 지능검사를 통해 지능지수가 70 미만은 지적장애로 진단하는데, 지능지수 70~85 사이에 있는 경우가 경계선 지능에 해당하는 것이다. 

때문에 경계선 지능인 아이들은 겉으로 보기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인다. 보통의 아이와 다르지 않아 보이지만 양육하는 부모는 또래 아이와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일반적인 아이를 양육하는 데에 필요한 노력보다 두 배, 세 배 이상 노력을 쏟아야 보통의 아이와 비슷하게 키울 수 있다. 그만큼 경계선 지능인 아이를 둔 부모들은 피나는 노력으로 아이 양육에 매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아동복지법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 그리고 장애를 가진 아이일 경우 장애아동 복지지원법에 근거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경계선 지능인 아이들은 일반적인 아이와는 다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장애 판정을 받을 만한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그나마 지난해 1월 제정된 당진시 경계선 지능인 평생교육 지원 조례가 전부다. 

나는 당진북부사회복지관에 근무 중인 한수지 사회복지사에게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해야 할 것 같다. 내 아이가 경계선 지능에 해당하는 ‘거북이’ 아이임에도 불구하고 누구도 알아주지 않았는데, 한수지 사회복지사를 만나서 이슈화가 된 것이 감사할 따름이다. 

그는 1년에 걸쳐 ‘가치(같이)가자’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서로 유형은 다르지만, 몇몇 부모들과 아이들이 만날 수 있도록 했고, 즐겁게 활동하면서 놀이를 통해 규칙을 깨우치고 사회성을 배울 수 있게 도움을 줬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더욱 발전해 당진시만큼은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간에 네트워크가 보다 잘 형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들었다. 

경계선 지능인 아이를 양육해보니 아이의 수준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야 아이가 한 개의 문제를 겨우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아이가 2~3개 문제를 풀 때, 경계선 지능인 아이는 1~2문제를 겨우 푼다. 

그러니 걱정이 되는 건 어쩔 수 없다. 초등학생 때는 부모가 어떻게 해서든 아이를 가르치는데, 중·고등학교에 진학하면 문제는 점점 어려워지고, 부모가 가르쳐 줄 수 있는 것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어떻게 교육을 시켜야 할지 막막할 따름이다. 그렇다고 이 아이들을 위한 교사와 학원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당진시뿐만이 아니라 정부는 경계선 지능 아이들을 위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교육을 받으며 자라나는 어린 시기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 취업에 이르기까지 경계선 지능인 아이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경계선 지능 아이들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아이들의 불행은 곧 부모의 죄책감으로 돌아오기에, 아이들이 행복해야 부모가 행복하다는 걸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아이들은 대한민국의 미래라고 하지 않는가.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