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4-26 19:24 (금)

본문영역

  • 뉴스
  • 입력 2002.07.07 00:00
  • 호수 426

공적기관인 문화원 사조직화 운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주민 자유로운 회원가입 차단

문화원 운영 이대로 좋은가

이사 및 감사선출 원장 위임, 친분있는 인사 포진
문예계 의견 반영 안돼, 외형적인 사업에만 치중

이사·감사선출 원장에게 위임
지난해 11월5일 당진문화원은 60여명의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문화원 공연장에서 제5대 문화원장 선거를 실시했다.
이날 선거에서 민영근씨는 단독출마로 무투표 당선돼 제4대 원장에 이어 5대 원장으로 문화원을 이끌어가게 됐다. 문제는 이사 및 감사 선출에 들어가면서 발생했다.
문화원의 공식 상설 의결기구인 이사회를 구성하면서 이사 선출을 원장에게 위임한 것이다. 더욱이 원장에 대한 견제기능을 갖는 감사의 선출 역시 원장에게 위임했다.
상설 의결기구인 이사회의 구성원을 원장이 선임할 경우 대표성에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아무래도 원장과 친분이 있는 인사들로 구성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전체 회원들을 대신해 주요 의사를 결정하는 이사회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특히 문화원의 재산상황이나 업무집행을 검사하고 비위 등을 적발해 시정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원장에 대한 견제기능을 갖는 감사의 선출을 견제의 대상인 원장에게 위임한다는 것은 조직원리에도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장에게 사실상 전권을 위임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이날 치러진 임원선출은 당진문화원 운영의 난맥상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낸 사건이었다.

전임 원장 사직서 처리 및
선거 일정 늦어져
민영근씨의 원장 사퇴와 사직서 처리 지연으로 인한 원장직 공석이 장기화되면서 그 동안 바깥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문화원 운영의 구조적 문제가 문화예술계를 중심으로 공론화되고 있다.
전임 문화원장인 민영근씨는 지난 5월14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미래연합 지구당 위원장에 선출되면서 당진문화원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문화원 정관에 따르면 사직서를 제출할 경우 이를 이사회에서 승인하고 승인한 날로부터 2개월 내에 총회를 열어 원장을 선출해야 한다. 그러나 두달 가까이 지나도록 사직서가 처리되지 않고 있어 선거공고 및 선관위 구성 등 원장선출을 위한 제반 사항들이 모두 늦어지고 있다. 일반 문화 사회단체와는 달리 국민의 세금을 주요 재원으로 하고 있는 문화원의 원장 선임이 늦어질 경우 납세자인 주민들의 문화 향유권은 그 만큼 제약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원장 선출이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 상당수 문화예술계 인사들은 사조직화된 문화원의 운영방식을 들고 있다.
앞에서 든 사례와 같이 원장에 의해 임명된 이사진이 주민의 문화향유권 보다는 사적인 관계에 더 충실하리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사조직화로 인해 문예인들 등져
원장 재임시부터 정치적 진출이 예상됐던 민영근씨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실제로 군수후보로 출마했다. 재임당시 민 전 원장은 각종 문화행사와 간행물 등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했다.
이를 바탕으로 6.13 지방선거에 출마해 집권여당이라고 볼 수 있는 민주당의 후보를 제치고 4위를 기록할 수 있었다.
실제로 이번 지방선거 과정에서 상당수의 문화원 이사 및 회원들이 민 전 원장의 선거캠프에서 활동했다.
명예직인 문화원장을 맡으면서 무리하다 싶을 정도로 사조직화한 이유는 이러한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됐다고 지역 정계에서는 바라보고 있다.
이렇다 보니 외부적으로 눈에 띄고 두드러지는 행사 위주로 문화사업을 전개한 반면 문예인들의 창작의지를 고취하고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내부적인 노력은 거의 없었다는 평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예인들이 문화원의 활동에 참여할 여지는 사실상 없었다.
문예인들이 참여하지 않는 문화원은 외부적인 활동에도 불구하고 지역 문화의 발전에는 뚜렷한 한계를 보였다.
사무국장 사실상 경질, 지나친 실무 관여 문제돼
그동안 문화원 사무국장을 맡아왔던 김진식씨는 지난 6월29일자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표면적으로는 김씨의 개인적인 사정을 들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정정희 부원장의 직무대행에 따른 직계체제 구축을 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상당수 문화원 관계자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문화원장은 명예직임에도 그동안 실무에 지나치게 관여해왔다는 지적을 받았다.
대부분 일반적인 사회단체의 경우 회장 등은 대외적으로 단체를 대표하고 주요 사항에 대한 의사결정만을 담당하는 대신 실무는 사무국장이 총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문화원의 사무국장은 그동안 사실 실무간사의 역할이 요구돼 왔다.
실무를 맡고 있는 사무국장에게 재량권이 주어지지 않고 비상근인 원장이 모든 실무에 관여할 경우 조직의 기동성이 떨어짐은 물론 안정적인 사업운영이 어려워진다.

지역주민 회원가입 통제
지금까지 문화원은 회원가입에 있어서도 규정과는 달리 자유롭지 못했다. 문화에 관심있는 주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도록 정관에 규정돼 있음에도 문화원의 운영에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는 인사나 자발적으로 문화원 가입을 희망하는 주민들의 입회원서는 대부분 뚜렷한 이유없이 반려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장 및 이사진과 친분이 있는 인물들이 회원의 많은 수를 차지했다. 결국 사조직화된 문화원의 구조가 그대로 재생산되는 결과를 낳게되는 것이다.
정관 규정에는 문화에 관심있는 주민은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이사 2인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가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규정에 의해 가입이 반려된 바 있는 이모씨(당진읍 읍내리, 45세)는 “세금으로 운영되는 문화원을 사조직처럼 운영하다 보니 주민의 관심이나 참여가 그 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1년 예산 9천만원, 국도비 및
군비 지원
올해 문화원에 책정된 예산은 국비 2천9백80만원, 도비 8백40만원, 군비 5천1백40만원 등 모두 8천9백60만원이다. 또한 문화원에서 위탁경영하고 있는 문화의 집 예산으로 4천2백만원이 책정됐다. 이에 비해 회비나 후원회비, 협찬금 등의 비율은 극히 낮은 편이다.
즉, 문화원의 주요 재원은 국민의 세금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납세자인 주민들의 권리를 보장해야 함에도 사회적 공기(公器)가 아닌 사조직처럼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 공기(公器)에 맞는
문화원으로 탈바꿈해야
문화의 세기인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지역에서 문화원의 역할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창작욕에 불타는 문화예술인이나 문화적 욕구에 목말라하는 주민을 연결하고 지역 문화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의무가 문화원에 주어져 있다.
시대적 요구에 걸맞는 문화원의 운영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정정희 부위원장은 “문화관광부 평가에서 3년 연속 우수 문화원으로 선정되는 등 어느 문화원 보다도 우수했다”며 “아무런 문제없이 무난하게 운영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많은 문예인들은 문화에 관심있는 주민들이 누구나 회원으로 참여하고 문예인들의 의사가 적극 반영되며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뤄질 때 지역 문화의 발전은 가능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문예계의 한 인사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문화원 임원진을 사조직화하고 이로 인해 문예인들과 관계가 멀어지면서 지역의 문화적 발전과는 멀어지게 됐다”며 “문화원 운영에 주민참여를 보장하는 한편 민주적인 운영이 정착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