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4-26 19:24 (금)

본문영역

[우현선의 포구 이야기] 운정포구 6
“1950년대, 운정양수장 앞에서 눈장 했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갯벌에 말뚝 박아 그물 설치
밀물에 눕고 썰물에 일어서면
그물 안에 물고기 가득

1976년 삽교호방조제 건설이 시작되기 전까지 운정리 앞바다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으로 각종 수산물의 주요 서식지였다. 이곳에서는 지금은 찾아보기 어려운 전통어업 방식 중 하나인 ‘눈장’이 이뤄졌다.
눈장은 말짱(말뚝)을 바다에 박아 그물이 들물(밀물)에는 드러눕고, 날물(썰물)에는 일어서서 그 안으로 물고기가 잡히게 하는 방식이다. 눈장의 경우 그물이 고정식이다 보니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후에 이점을 보완해서 나온 것이 이동이 용이한 안강망이다. 두 가지 모두 그물의 구가 넓고 길이가 긴 자루 모양의 그물을 사용했고, 그물에 잡힌 물고기들은 자루의 가장 안쪽 부분인 ‘불뚝’에 모이게 됐다. (※참고자료: 「소사벌 25호」 평택문화원, 2010)

“눈장으로 강다리, 황어 등을 잡았지. 말을 박고서 그물 쳐놓고 하루에 두 번. 아버지가 하셨어. 해방되고서 그때가 상당히 먹고 살기가 어려울 때야. 국민학교 다니면서 (아버지) 뱃일 도와주고, 나도 자작으로 좀 하고 그랬지. 지금 운정양수장 요 앞, 말하자면 지금 삽교호방조제 내수면 안에서 한 거지. 배에 5m가 넘는 나무를 싣고 가. 끝을 삐족하게 깎아서. 참나무여야 해. 여럿이서 흔들흔들 내두르면 뻘이니까 박히거든. 5m마다 하나씩 한 50개를 박지. 거기다 그물을 위 아래로 묶어서 썰물 때 걸린 고기들을 털어 올리는 거야.” (김상래 씨)

눈장에 쓰이는 말뚝은 물을 먹어도 단단한 참나무를 사용했다. 3월이면 말뚝을 바다에 가져가 박아 1년 내 사용했다. 서리가 오고 날이 추워지면 다시 수거해뒀다 이듬해 다시 사용했다. 김상래 씨가 기억하는 눈장은 1950년대의 일이다.

“생선을 털어오면 아주머니들이 제방에 와서 광주리에 담아서 가져다 팔고 그랬어. (공포 말고 현 운정양수장) 여기도 배를 몇 대씩 댔었지. 그전에 물 빠지면 자연뻘이 한 3km 가까이 드러나는데 무척 넓었지. 어른들은 눈장 그물을 하시고, 난 얼민장이라고 꽃게, 준치 잡는 걸 조금 해봤어. 스무 살도 되기 전 일이여.”

 

당진시대방송미디어협동조합 우현선

저작권자 © 당진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500

내 댓글 모음